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뉴욕주·시 가정 폭력 피해자 늘었다

뉴욕주 가정 폭력 피해자가 증가했다.     가정 폭력 인식의 달을 맞아 뉴욕주 감사원이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뉴욕시 가정 폭력 피해자는 3만9224명으로, 전년 대비 12% 증가했다. 뉴욕시를 제외한 주의 나머지 지역에서는 2021년보다 2% 증가한 4만9598명의 가정폭력 피해자가 보고됐다.     뉴욕시 가정 폭력 신고 건수는 2012년부터 2019년까지 꾸준히 증가했고, 2019년 최고치를 찍었으나 2020년 팬데믹으로 인해 신고에 대한 장벽이 높아져 감소했다. 2021년과 2022년에는 신고 건수가 모두 증가해 작년 가정 폭력 피해자 신고 건수는 2019년 대비 8.5%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대부분의 가정 폭력 피해자들은 가까운 파트너로부터 피해를 입은 것으로 파악됐다. 뉴욕시와 주의 나머지 지역에서 전체 가정 폭력 피해자의 약 70%가 가까운 파트너로부터 폭행을 당했으며, 피해자의 80%는 여성이었다.     가정 내 범죄 피해자 비율은 인종별로도 차이를 보였다. 주 형사사법서비스국(DCJS)에 따르면, 가정 내 살인 피해자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인종은 흑인(41%)이었고, 백인(28%)과 히스패닉(22%)이 뒤를 이었다.     뉴욕시 외 지역에서는 ‘단순 폭행’이 신고 건수의 80%를 차지했다. 가정 폭력 신고가 다양한 혐의로 분류되는 뉴욕시에서는 3급 폭행 및 관련 범죄가 지난해 전체 신고의 40%를 차지했다. 2012년부터 2022년까지 뉴욕시 ‘3급 폭행 및 관련 범죄’ 신고 검수는 감소세를 보였지만 여전히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가정 폭력 피해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가정 폭력 쉼터 이용률도 증가했다. 쉼터 이용률은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증가 추세를 보였다. 지난 한 해 동안 9157명의 가정 폭력 피해자가 뉴욕주 가정 폭력 프로그램을 이용했으며, 5673명이 쉼터를 이용했다. 가정 폭력 신고 관련 핫라인 전화는 총 1572건이었고, 이는 시간당 약 66건에 달한다. 가정 폭력 근절을 위한 전국 네트워크(NNEDV)의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8년 이후 가정 폭력 피해 관련 핫라인 문의는 19%, 긴급 쉼터를 제공받은 피해자는 41% 증가했다.   윤지혜 기자 yoon.jihye@koreadailyny.com뉴욕주 폭력 뉴욕주 감사원 가정폭력 피해자 뉴욕주 가정

2023-10-20

“교회가 가정폭력 피해자 징계” 한인 장로 사임

유명 변호사인 한인 장로가 선밸리 지역 대형교회인 그레이스커뮤니티교회(이하 GCC)의 가정 폭력 문제 처리 방식이 “문제가 많다”며 사임을 결정해 파문이 일고 있다.     GCC는 미국 교계와 언론이 ‘21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목회자’로 꼽는 존 맥아더 목사가 담임을 맡은 교회다.   이번 논란은 지난 2014년부터 GCC에서 장로로 시무해왔던 데니스 조(사진) 변호사가 최근 교회에 사임서를 제출하면서 불거졌다.그는 생명공학 관련 기업의 인수합병 전문 변호사로 활동해온 유명 법조인이다.   최근 조 변호사가 교회에 보낸 사임서에는 “나의 신앙적 양심과 신념이 다른 GCC의 장로들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이번 사건은 그가 교회 내에서 발생했던 가정폭력 관련 피해자 조사를 담당하면서 시작됐다. 조 변호사는 “지난해 장로 위원회로부터 20년 전 한 여성 교인의 가정 폭력 건과 관련해 변호사로서 재조사를 해달라는 요청을 받게 됐다”며 “당시 피해 여성은 가정에서 학대를 당했고 가해자인 남편은 법적으로 유죄(무기징역)를 받고 감옥에 갔는데도 교회는 오히려 피해자가 ‘죄를 지었다’며 징계했다”고 말했다.   당시 교회 측은 이혼을 하려 했던 피해 여성에게 “남편에게 복종하는 것이 성경적으로 옳다”며 자체적으로 징계를 내렸던 것으로 알려졌다.   조 변호사는 “조사 결과 당시 교회의 결정이 실수였음을 알게 됐고 당회에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피해자에 대한 공식 사과를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오히려 당회는 내게 조사 결과를 철회하거나 장로직 사임을 요구했다”고 말했다.   교회 내 가정 폭력 피해자에 대한 조사 소식이 알려지자 침묵을 지키던 여성들이 그에게 하나둘씩 사연을 털어놓기 시작했다.   조 변호사는 “한 여성은 남편의 그루밍, 외도, 폭행 등으로 법원에 접근금지 명령을 요청했지만, 오히려 교회는 ‘남편과 다시 살아야 한다’고 조언했다”며 “이는 교회 내에서 실제 벌어지고 있는 끔찍한 상담 패턴이었음을 알게 됐다”고 전했다.   여러 피해자를 조사한 결과 조 변호사는 교회 측이 근친상간, 성폭행, 가정 폭력으로 신앙 상담 등을 요청하는 피해자들에게 용서, 신뢰, 사랑, 복종 등이 관련된 성경 구절을 인용하며 피해 사실을 덮어왔다고 주장했다.   조 변호사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남편으로부터 신체적 학대를 당해 병원에 입원했던 한 여성에게는 교회 측 상담 목회자가 “경찰에 신고하지 말고 집으로 돌아가라”며 “이러한 상황 자체가 하나님의 뜻일 수 있다”고 말했다.   조 변호사의 사임과 관련, GCC는 내부 성명을 통해 “우리 교회의 역사와 회중이 증거”라며 “제기된 문제는 사적인 부분”이라고 일축했다.   교회 당회는 조 변호사의 거듭되는 사과 요청 등을 계속 거부했다.   조 변호사는 “교회의 지도부인 당회는 방어적이 됐고, 오히려 존 맥아더 목사만 보호하려는 듯 보였다”며 “존 맥아더 목사도 나에게 ‘잊어버리라’고 말했지만 나는 신앙적 양심과 기도, 조언, 성경이 이끄는 대로 옳은 일(사임)을 해야 했고 그 결과는 하나님께 맡기기로 했다”고 말했다.   한편, 데니스 조 변호사는 UC버클리 법대를 졸업한 뒤 지난 1995년에 변호사가 됐다. 장열 기자ㆍjang.yeol@koreadaily.com가정폭력 징계 장로 그레이스커뮤니티교회 변호사 사임 가정폭력 피해자

2023-05-17

"가정폭력·성폭력 피해, 함께하면 뛰어넘을 수 있습니다"

뉴욕가정상담소가 제34주년 연례갈라를 오는 28일 오후 6시 맨해튼 42스트리트의 치프리아니(110 E 42nd St.)에서 개최한다.   21일 갈라 홍보를 위해 뉴욕중앙일보를 방문한 이지혜 소장과 관계자들은 “연례 갈라는 뉴욕가정상담소의 운영 예산을 모금하는 중요한 행사”라며 가정폭력과 성폭력 피해자들을 돕기 위한 단체의 활동에 보탬이 될 수 있도록 많은 참여와 성원을 당부했다.   ‘폭력을 뛰어넘다(Rise Above the Violence)’를 주제로 한 이번 갈라에는 뉴욕가정상담소의 도움을 받아 현재 자립에 성공한 가정폭력 피해자 1명이 13년 만에 자신의 경험담을 공유해 가정폭력의 심각성을 알리고 다른 피해자들에게 용기를 불어넣어 줄 예정이다.   또 뉴욕가정상담소는 올해 갈라 행사에서 반기문 전 유엔총장과 반기문센터 네트워크에 레거시 상(Legacy Award)을 수여할 계획이다. 자산운용사 캐피털 그룹의 카렌 최씨에게 모범상(Exemplary Award), 투루이스트 투자은행의 스텔라 김 터커씨에게 캐털리스트 상(Catalyst Award)을 수여한다.   갈라를 통해 모금된 기금은 가정상담소의 연간 운영비의 25% 정도를 차지하며 연간 2500명의 가정폭력·성폭력 피해자를 돕기 위한 무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뉴욕가정상담소에서는 가정폭력·성폭력 사례에 대해 핫라인을 통한 상담과 함께 셸터 제공, 직업 교육과 장기주택프로그램, 아동보호와 법률 상담 등 입체적이고 다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데이비드 김·이다원 공동갈라준비위원장은 “올해는 사일런트 옥션과 래플 추첨, 온라인 옥션까지 다채로운 상품을 준비했다”며 많은 관심을 당부했다.     이 소장은 “올해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대비 핫라인 상담 전화가 4배가 늘어 약 5000건에 달했다”라며 팬데믹 이후 급증한 가족 내 갈등 문제로 상담 및 도움을 요청하는 피해자들이 뉴욕·뉴저지주뿐만 아니라 조지아·텍사스주 등 전국적으로 들어오고 있으며 이번 갈라를 통해 단체가 더 큰 원동력을 갖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갈라 관련 세부사항은 웹사이트(kafscgala2023.org), 문의는 gala@kafsc,org. 24시간 상담 핫라인은 718-460-3800.   글·사진=심종민 기자가정폭력 성폭력 가정폭력 피해자 성폭력 피해자들 성폭력 사례

2023-04-21

숨은 가정폭력 여전히 많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사태 후 고립과 심리적 압박이 다양한 가정 내 갈등 양상을 폭발시켰다. 하지만 여전히 한인가정 내 드러나지 않은 가정폭력이 많다고 전문가는 진단한다.     2020년 코로나19 사태가 발발한 후 가정폭력 신고가 크게 늘었다.     뉴저지주 어린이가족국(Department of Children and Families)이 운영하는 핫라인 신고는 이전보다 37% 늘었다. 연방 보건당국에 따르면 여성 4명 중 1명, 남성 10명 중 1명은 일생동안 친밀한 파트너로부터 폭력을 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인시민단체가 현장에서 느끼는 팬데믹 후 폭증한 가정폭력과 가족간 갈등의 모습은 이보다 훨씬 더 심각하다.     뉴욕가정상담소 이지혜 소장은 “팬데믹 이후 핫라인 상담전화가 3배 이상 증가했다. 다양한 가족 간 갈등 뿐 아니라 아시안 증오범죄, 팬데믹으로 인한 경제적 고통 등 다양한 문제가 분출됐다”고 전했다.     현재는 팬데믹 사태 초기보다는 소폭 감소했지만 이같은 추세가 이어져 이전 대비 2~3배의 신고전화가 지속되고 있다.       건수도 늘었지만, 갈등의 심각성과 다양성도 심화됐다.     과거에는 남편의 지속적인 폭력이나 폭언을 견디다 못한 아내의 신고가 대부분이었다면, 이제는 폭력과 갈등의 방향성이 다양해졌다는 분석이다.     아동학대, 노인학대 등 다양한 가족간 폭력은 물론, 아내에게 폭행당하는 남편, 사춘기 자녀로부터 폭언과 폭력을 당한 부모 등 복잡한 양상이 노출됐다.     뉴욕가정상담소 유미정 부소장은 “잠재돼 있던 갈등요소가 셧다운으로 집에 머물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분출된 것”이라고 분석하고 “실직과 수입 감소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이 여기에 불을 붙인 격”이라고 전했다.     한인들의 경우 신고나 상담을 꺼리고 가정 내에서 해결하려는 경향이 커서 폭력이 장기화되는 경우도 많다.     한인여성 A씨는 서류미비 상태에서 시민권자 K씨와 결혼한 후 20년 가까이 폭력와 폭언에 시달려 왔다. A씨가 장기간 가정의 생계를 책임져왔지만, 약속했던 영주권 신청은 이뤄지지 않았고 폭행 후에는 이민국에 신고하겠다는 협박까지 들었다.     전문기관의 도움을 받은 A씨는 가정폭력 피해자를 구제하는 영주권을 받고 자립했다.       가정폭력·성폭력·데이트폭력 등 피해자는 1994년 통과된 여성폭력방지법(VAWA·Violence Against Women Act)의 지원을 받을 수 있고, 범죄 피해자를 구제하는 U비자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전문가들은 폭력이 동반되는 경우 반드시 경찰에 신고하고, 전문가의 도움을 얻을 것을 권고한다.         24시간 가정폭력 피해 신고는 800-942-6906(뉴욕주정부) 또는 718-460-3800(뉴욕가정상담소).   장은주 기자 chang.eunju@koreadailyny.com가정폭력 전문기관 가정폭력 신고 가정폭력 피해자 뉴욕가정상담소 이지혜

2022-07-28

"각종 폭력 피해자 지원"…한인가정상담소 조직 개편

한인가정상담소(소장 캐서린 염)가 이달부터 기존의 ‘가정폭력 부서’를 ‘폭력 피해자 지원부서’로 개편한다.     최근 가정폭력뿐만 아니라 성폭력, 데이트 폭력, 인신매매 등 다양한 폭력 피해자를 대상으로 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함에 따라 부서를 확장하고 새롭게 단장했다고 밝혔다.     가정폭력 피해자 지원은 한인가정상담소가 초창기부터 이어온 주요사업으로, 2013년 전담부서가 출범하면서 한국어에 능통한 담당 직원들이 법적 절차나 쉘터나 주택서비스 연계, 공공서비스 지원 연계, 재정상담 등의 서비스 등을 지원하는 등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한인가정상담소는 최근 다양한 폭력 피해자가 늘면서 기존의 가정폭력부서 명칭을 변경하고 인원을 충원해 확대 개편에 나섰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새로 채용한 디렉서비스 수퍼바이저가 이달 9일부터 근무할 예정이며, 직원 2명이 충원돼 총 10명이 부서 내에서 근무하게 됐다고 한인가정상담소는 밝혔다.     또한 피해자 지원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대상 폭력예방 교육, 가정폭력 및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부모교육도 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폭력 피해자 지원부서 김선희(사진) 프로그램 매니저는 “이번 부서 개편을 통해 우리 커뮤니티에 폭력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가정폭력뿐만 아니라 다양한 폭력에 노출되어있는 한인들을 위해 최선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폭력피해자 지원·상담 문의는 이메일(GBV@kfamla.org) 혹은 24시간 핫라인(213-338-0472)으로 연락하면 된다. 장수아 기자한인가정상담소 폭력 폭력피해자 지원 가정폭력 피해자 한인가정상담소 조직

2022-05-0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